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

법률구조제도, 소송대리, 소송 서류 무료작성, 개인회생, 파산 사건지원 생활 속 갈등을 현명하게 풀어내고 싶을 때 법률구조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대상 ⓐ 중위소득 125%(4인기준 675만 원) 이하인 국민과 국내 거주 외국인 ⓑ 중위소득 150%(4인기준 810만원) 이하 농, 어업인 (단위 : 원/월) ♣ 지원 내용 ⓐ 민사, 가사, 행정, 헌법소원심판 등의 소송 대리 ⓑ 소송 서류 무료 작성(단, 1,000만 원 이하의 간단하고 명백한 사건) ⓒ 개인 회생, 파산 신청 사건 지원 ⓓ 형사 무료 변호 지원 ♣ 지원 방법 대한법률구조공단 전국 지부, 출장소, 지소에 유선 또는 방문 상담 후 신청 ♣ 문의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www.klac.or.kr 법률 및 금융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2023. 7. 17.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피해자 무료 법률 지원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가족이 특별한 상황에 처했을 때 가족폭력, 성폭행, 스토킹 피해자 무료 법률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등의 피해자 (국내거주 외국여성 포함) - 가정폭력, 성폭력과 관련 법률적 도움이 필요한 사람 ♣ 내용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등 폭력피해 관련 상담, 민사, 가사 소송대리 및 형사 소송 등 무료 지원 ♣ 지원 방법 무료법률 지원 수행기관에 문의 후 신청 ♣ 문의 ①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등 피해 관련 무료법률 지원 수행기관 - 대한법률구조공단 (☎ 132) - 대한변협법률구조재단 (☎ 02-3476-6515) ② 피해 상황별 무료법률 지원 수행기관 - (가정폭력) 한국가정법률상담소 (☎ 1644-7077) - (성폭력) 한국성폭력위기센터 (☎ 0.. 2023. 7. 17.
서민금융진흥원 맞춤 대출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법률 및 금융지원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서민금융진흥원의 맞춤대출 서비스를 알아보겠습니다. ♣ 대상 소득이 있고, 연체가 없는 직장인 및 자영업자 ♣ 지원 내용 ① 정책서민금융상품(새희망홀씨, 햇살론, 햇살론15, 햇살론뱅크, 사잇돌) 및 민간 금융회사의 일반 대출상품(중금리, 대환상품)의 한도를 금리로 비교해 가정 적합한 대출 상품 중개 ② 서민금융진흥원과 협약을 맺은 금융회사의 130여 개 대출상품의 한도 및 금리 비교 후 가장 적합한 대출 선택 ♣ 지원 방법 서민금융진흥원 앱, 서민금융진흥원 맞춤대출 누리집(loan.kinfa.or.kr), 서민금융콜센터에서 신청 ♣ 문의 서민금융콜센터(☎1397) 법률 및 금융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확인하시고 혜택 받으세요! 2023. 7. 17.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지원 사업, 대상, 내용, 방법, 법률 및 금융지원 재정적인 도움이 필요할 때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서비스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대상 신용회복지원협약 가입기관에 대한 총 채무액이 15억 원 이하(무담보 5억, 담보 10억)로 연체가 발생한 채무자 ※ 신용회복지원협약 가입기관 : 진흥원, 금융회사, 금융회사에 준하는 자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 지원 내용 채무자의 상황(연령, 연체기간, 소득 등)에 따라 상환기간 조정(최장 10년), 이자율 조정, 원금 감면(요건 충족 시 20% ~ 70%, 취약 채무자는 최대 90%) 등을 지원 ♣ 지원 방법 ① 서민금융통합지원센터(www.re-loan.kr) 방문 상담 신청 ② 신용회복위원회 사이버상담부(cyber.ccrs.or.kr)를 통해 인터넷 상담 신청 ③ 신용회복위원회 모바일 앱 설치 후 상담 .. 2023. 7. 17.
청년월세 특별지원, 월세 지원 제도, 정부지원금 월세 부담이 많은 청년을 대상으로 청년월세 특별지원금 지급합니다. 1년간 한시적인 지원이며, 2023년 8월 21일 마감이라고 하니, 서두르셔서 지원받으세요. 정부가 운영하는 홈페이지(복지로)가 궁금하시면 아래 사진을 클릭하세요. 지원 대상자 ♣ 만 19세 ~ 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청년독립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 소득이 100% 이하인 청년 - (청년독립가구) 청년 + 배우자 + 직계비속 + 동일거주에 거주하는 가족 - (원가구) 청년독립가구 + 1촌 이내 직계혈족(부모) 지원 내용 ♣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최대 240만 원(월 최대 20만 원)까지 최대 12개월(회) 매월 분할 지원 - 단, 실제 월세 범위 내에서만 지원하며, 보증금, 관리비 등은 제외 후 지원함 신청 방.. 2023. 7.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