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어르신의 건강이 걱정될 때, 특히 무릎이 걱정되실 때에는 노인 무릎인공관절 수술 지원 서비스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 만 60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 중 무릎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어르신 ※ 건강보험급여 '인공관절 치환술(무릎관절)' 인정 기준에 준하는 질환자 ♣ 지원 내용 - 검사비, 진료비 및 수술비 본인부담금 (한쪽 무릎 기준 120만 원) 지원 ※ 지원 제외 ⓐ 무릎인공관절 수술과 관련 없는 검사비, 치료비 등 ⓑ 간병비, 상급병실료 등 비급여 ⓒ 지원 결정 전에 발생한 진료비 등 ♣ 지원 방법 해당 지역 보건소에 신청 ♣ 문의 노인의료나눔재단 (☎ 02-711-6599, www.ok6595.or.kr) 노령층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 2023. 7. 18.
치매 검진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치매가 걱정될 때는 치매검진 지원 서비스를 받아 보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 선별 검사 : 만 60세 이상 어르신 (만 60세 미만으로 인지능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조기검진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포함) ⓑ 진단, 감별 검사 : 만 60세 이상으로 중위소득 120%(4인가족 기준 648만 원/월) 이하인 어르신 ♣ 지원 내용 ⓐ 전국 보건소에서 치매 선별검사 및 진단검사 무료 실시 ⓑ 선별검사 결과 정밀검사 필요 시 전국 600여 개소 협약병원에서 추가 진단, 감별 검사 실시 및 검사비 일부 지원 ♣ 지원 방법 가까운 보건소 치매안심센터에 신청(전국에 있음) ♣ 문의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 치매상담콜센터 (☎ 1899-9988) 노령층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 2023. 7. 18.
어르신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어르신의 건강이 걱정될 때 어르신 국가예방접종 지원 사업을 신청 하실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65세 이상 어르신 (1958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 ※ 주민등록상 출생연도 기준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신분증을 지참하고 전국 지정의료기관 및 보건소 방문 ※ 지정의료기관 :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 접종기관 방문 전 접종가능 여부 확인 필수 ♣ 문의 ⓐ 질병관리청 콜센터 (☎ 1339) ⓑ 질병관리청 예방접종관리과 (☎ 043-719-8398~8399) 노령층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확인하시고 혜택 받으세요! 2023. 7. 18.
장애인 연금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장애인 지원 장애로 인해 생활이 곤란할 때 장애인 연금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18세 이상의 장애인연급법상 중증장애인 중 본인과 배우자의 소득인정액이 선정기준액 (단독가구 122만 원, 부부가구 195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중증장애인 :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요건을 갖춘 사람 ♣ 지원 내용 근로 능력 감소로 소득이 미미하고, 장애로 인한 추가 지출 비용으로 생활이 어려운 중증 장애인에게 장애인연금(기초급여, 부가급여) 지원 ※ 차상위 계층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50%(4인가구 기준 270만 원) 이하 ※ 만 65세 이상 시에는 장애인연금 기초급여 대신 기초연금으로 전환(별도신청 필요) ♣ 지원 방법 ⓐ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2023. 7. 18.
장애인 일자리 지원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장애인 지원 일자리가 필요할 때 장애인 일자리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18세 이상 미취업 등록 장애인 ♣ 지원 내용 - 근무기간 : 1년 단위(1월 1일 ~ 12월 31일)로 최대 2년까지 참여 가능 ※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65세 이상 노인 및 기초생활보장수급자는 계속 참여 가능 ※ 대상자 선정은 지자체 등 수행기관의 면접 등 심사결과에 따라 결정 ♣ 지원 방법 관할 시군구청 장애인 일자리 사업 담당과에 신청 (매년 11월 ~ 12월에 다음 연도 참여자 모집) ♣ 문의 ⓐ 주소지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장애인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확인하시고 혜택 받으세요! 2023. 7. 17.
장애인 취업성공 패키지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장애인 지원 일자리가 필요할 때 장애인 취업성공 패키지 서비스를 지원하실 수 있습니다. ♣ 대상 ⓐ I 유형 : 취업을 희망하는 만 18세 ~ 69세 장애인 ⓑ II 유형 : 취업을 희망하는 중위소득 60% 이하(4인가구 기준 3,240천원/월)의 만 18세 ~ 69세 장애인 ※ 단, 69세를 초과할 경우 상담과 평가를 통해 참여여부 판단 ♣ 지원 내용 장애인에게 성공적인 취업과 직업적응을 지원하기 위한 단계별 전문서비스로 통합 취업지원프로그램 제공 ※ 1단계를 수료한 후에 2단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방법 한국장애인고용공단 지역본부(지사), 직업능력개발원으로 신청 ♣ 문의 한국장애인고용공단 (☎ 1588-1519, www.kead.or.kr) 장애인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 2023. 7. 17.
장애인 활동 지원 서비스, 대상, 내용, 방법, 장애인 지원 안정적인 일상생활을 원할 때 장애인 활동지원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대상 만 6세 ~ 만 65세 미만 등록 장애인 중 신체기능과 자립생활 능력 등을 평가한 "서비스 지원 종합 조사" 결과 활동지원 등급으로 판정을 받은 사람(42점 이상) ※ 조사원이 가정을 방문해 기능상태, 사회활동, 가구환경 등 서비스 필요도를 종합적으로 평가 (종합 점수에 따라 1 ~ 15등급으로 구분됩니다.) ♣ 지원 내용 활동보조(신체, 가사, 사회활동 지원 등), 방문간호, 방문 목욕 등을 이용할 수 있는 이용권(바우처) 제공 ⓐ 활동지원급여(1~15등급) : 최소 93만 6천 원 ~ 최대 747만 5천 원 ⓑ 특별지원급여(3종) : 최대 6개월 한시적 지원 - 출산(124만 7천 원), 자립준비(31만 3천 원), .. 2023. 7. 17.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대상, 내용, 방법, 장애인 지원 의료 및 재활지원이 필요할 때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인 지체, 죄병변, 시각, 청각, 심장, 호흡, 발달, 언어 장애인 ♣ 지원 내용 38개 품목의 보조기구를 지원 금액 내에서 무료 교부 ♣ 지원 방법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 신청 → 가격기준 검토(시군구청) → 서비스 지원 종합조사(국민연금공단) → 교부 결정 ♣ 문의 ⓐ 장애인보조기기센터 (♣ 1670-5529) ⓑ 관할 지자체 ※ 중앙보조기기센터(www.knat.go.kr) : 보조기기 지원 사업, 보조기기 찾기, 보조기기 안전 모니터링, 보조기기 온라인 상담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장애인 지원을 위한 다른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확인하시고 .. 2023. 7.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