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5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중 만 18세 이상 전체 원발성(그 자체가 질병인 성질) 암환자 ※ 의료급여수급자 : 의료급여를 받는 사람, 기초생활 수급자 등 사회적인 취약 계층이나, 국가유공자, 북한이탈주민, 국가유공자,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 노숙인 등 ※ 차상위 계층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로 건강보험증의 구분자 코드 C, E 해당자 ♣ 지원 내용 암환자에게 연속 최대 3년간 의료비 지원 (연 최대 300만 원, 급여/비급여 구분 없음) ♣ 지원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 문의 ① 관할 보건소 ②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③ 국가암정보센터 (☎ 1577-8899) 다양한 .. 2023. 7. 18.
재난적 의료비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의료비 부담을 덜고 싶을 때 재난적 의료비 지원 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국내 거주하는 국민으로서 소득기준, 재산기준, 의료비 부담 수준 등을 고려하여, 지원대상 선정기준을 모두 총족하는 자 (단,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의료비 부담수준만 확인)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지급 신청 (환자 또는 대리인) ② 신청기간 : 퇴원일(최종진료일) 다음날부터 180일(통,공휴일 포함) 이내 ♣ 문의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②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다양한 보건의료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알아보세요~~ 2023. 7. 18.
정신건강 복지센터 이용,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때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지역 주민은 누구나 ♣ 지원 내용 ① 지역 사회 주민 대상 우울증, 자살 등 정신건강 상담 및 예방 교육 ② 만 18세 이하 또는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상담, 교육, 의료비 지원 등) ③ 정신질환자 대상 사례관리, 심층사정평가, 상담 및 사회복귀 지원 ♣ 지원 방법 해당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문의 후 신청 ♣ 문의 ①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②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서비스 정신건강전문요원 등이 정신건강 상담, 정신건강 정보 제공, 정신의료기관 안내 등을 합니다. 365일, 24시간 운영됩니다. (단, 야간,주말 .. 2023. 7. 18.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대는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적시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자 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진단받은 정신질환자 ② 자타해 위험이 발생하여 즉각적으로 응급, 행정입원이 필요한 자 ③ 정신질환의 만성화 예방 및 지속 치료 동기부여가 필요한 초발(처음으로 생겨남) 정신질환자 및 외래치료 지원을 받은 자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② 가까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신청 (전국 시군구에 운영 중) ♣ 문의 ①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②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다양한 보건의료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알아보세요~~ 2023. 7. 18.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이 힘이 드실 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아래 3가지 모두충족되어야 합니다. ①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치매, 중풍, 뇌혈관 질환, 파킨슨병 등) ②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 ③ 장기요양 1 ~ 5등급, 인지지원등급을 인정받은 자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방문 또는 우편, 팩스 신청 ② THE 건강보험 앱을 통해 신청 ♣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 1577-1000, www.longtermcare.or.kr) ※ 65세 미만 노인성 질별을 가진 사람은 장기요양인정 신청서와 의사 소견서 또는 진단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023. 7. 18.
기초연금제도,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이 필요할 때 기초연금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액(소득하위 70%) 이하인 어르신 ♣ 지원 내용 월 최대 32만 3,180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음 구분 선정 기준액 월 최대 지원 금액 단독 가구 부부 가구 소득 하위 70% - 단독 가구 202만 원 이하 - 부부 가구 323만 원 이하 월 최대 32만, 3,180원 월 최대 51만 7,080원 (1인당 최대 25만 8,540원) ♣ 지원 방법 ①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②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 초일(1일)부터 신청 가능함 ※ 방문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공.. 2023. 7. 18.
주택연금제도,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이 필요할 때 주택연금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보유 주택이 공시 가격 등 9억 원 이하인 만 55세 이상 어르신 ※ 다주택의 경우 합산 가격이 공시가격 9억 원 이하이면 가입 가능 ※ 공시 가격 9억 원 초과 2 주택자는 3년 이내 1 주택 처분 조건으로 가입 가능 ♣ 지원 내용 집을 담보로 맡기고 내 집에 살면서 매월 연금 수령 ♣ 지원 방법 한국주택금융공사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문의 한국주택금융공사 (☎ 1688-8114, www.hf.go.kr) ① 지원 예시 - 집값이 3억 원인 55세 가입자 : 매월 45만 3천 원 연금 수령 - 집값이 3억 원인 70세 가입자 : 매월 90만 1천 원 연금 수령 ※ 일정한도 내에서 목돈으로 .. 2023. 7. 18.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어르신의 치아 건강이 걱정될 때, 노인 치과 임플란트 지원 서비스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65세 이상 부분 무치악 환자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는 제외) ※ 부문 무치악 : 윗잇몸 또는 아래잇몸에 일부 치아가 빠진 상태 ♣ 지원 내용 치과 임플란트 시술 시 해달 비용 일부만 본인이 부담 (평생 2개 지원) 건강보험 차상위 의료급여 1종 의료급여 2종 30% 10% ~ 20% 10% 20% ※ 차상위 : 중위소득 50% 이하 (4인가족 기준 270만 원/월 이하) ※ 의료급여 1종 ① 국민기초생활보장수급자 (근로무능력가구, 희귀 질환자, 중증난치질환자, 시설수급자) ② 타법 적용자 : 이재민, 의상자 및 의상자 유족, 입양아동(18세 미만), 국가유공자,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 북한이탈..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