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복지센터 이용,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때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지역 주민은 누구나 ♣ 지원 내용 ① 지역 사회 주민 대상 우울증, 자살 등 정신건강 상담 및 예방 교육 ② 만 18세 이하 또는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상담, 교육, 의료비 지원 등) ③ 정신질환자 대상 사례관리, 심층사정평가, 상담 및 사회복귀 지원 ♣ 지원 방법 해당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문의 후 신청 ♣ 문의 ①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②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서비스 정신건강전문요원 등이 정신건강 상담, 정신건강 정보 제공, 정신의료기관 안내 등을 합니다. 365일, 24시간 운영됩니다. (단, 야간,주말 ..
2023. 7. 18.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으로 일상생활이 힘이 드실 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아래 3가지 모두충족되어야 합니다. ① 65세 이상 노인 또는 65세 미만 노인성질환자(치매, 중풍, 뇌혈관 질환, 파킨슨병 등) ② 6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혼자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려운 자 ③ 장기요양 1 ~ 5등급, 인지지원등급을 인정받은 자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운영센터 방문 또는 우편, 팩스 신청 ② THE 건강보험 앱을 통해 신청 ♣ 문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보험 (☎ 1577-1000, www.longtermcare.or.kr) ※ 65세 미만 노인성 질별을 가진 사람은 장기요양인정 신청서와 의사 소견서 또는 진단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2023. 7. 18.
기초연금제도, 대상, 내용, 방법, 노령층 지원, 노인 지원
안정적인 노후생활 지원이 필요할 때 기초연금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만 65세 이상이며, 소득인정액이 선정 기준액(소득하위 70%) 이하인 어르신 ♣ 지원 내용 월 최대 32만 3,180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음 구분 선정 기준액 월 최대 지원 금액 단독 가구 부부 가구 소득 하위 70% - 단독 가구 202만 원 이하 - 부부 가구 323만 원 이하 월 최대 32만, 3,180원 월 최대 51만 7,080원 (1인당 최대 25만 8,540원) ♣ 지원 방법 ① 전국 읍면동 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 또는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② 복지로(www.bokjiro.go.kr) 온라인 신청 ※ 만 65세 생일이 속하는 달의 1개월 전 초일(1일)부터 신청 가능함 ※ 방문이 어려운 경우 국민연금공..
2023.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