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5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치료가 어려운 질환을 앓고 있을 때 성인 암환자 의료비 지원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의료급여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중 만 18세 이상 전체 원발성(그 자체가 질병인 성질) 암환자 ※ 의료급여수급자 : 의료급여를 받는 사람, 기초생활 수급자 등 사회적인 취약 계층이나, 국가유공자, 북한이탈주민, 국가유공자, 5.18 민주화운동 관련자, 노숙인 등 ※ 차상위 계층 : 차상위 본인부담경감대상자로 건강보험증의 구분자 코드 C, E 해당자 ♣ 지원 내용 암환자에게 연속 최대 3년간 의료비 지원 (연 최대 300만 원, 급여/비급여 구분 없음) ♣ 지원 방법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 문의 ① 관할 보건소 ②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③ 국가암정보센터 (☎ 1577-8899) 다양한 .. 2023. 7. 18.
재난적 의료비 지원,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의료비 부담을 덜고 싶을 때 재난적 의료비 지원 제도를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국내 거주하는 국민으로서 소득기준, 재산기준, 의료비 부담 수준 등을 고려하여, 지원대상 선정기준을 모두 총족하는 자 (단,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은 의료비 부담수준만 확인)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방문하여 지급 신청 (환자 또는 대리인) ② 신청기간 : 퇴원일(최종진료일) 다음날부터 180일(통,공휴일 포함) 이내 ♣ 문의 ①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②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다양한 보건의료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알아보세요~~ 2023. 7. 18.
정신건강 복지센터 이용,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때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지역 주민은 누구나 ♣ 지원 내용 ① 지역 사회 주민 대상 우울증, 자살 등 정신건강 상담 및 예방 교육 ② 만 18세 이하 또는 취약계층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상담, 교육, 의료비 지원 등) ③ 정신질환자 대상 사례관리, 심층사정평가, 상담 및 사회복귀 지원 ♣ 지원 방법 해당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 문의 후 신청 ♣ 문의 ①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②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 정신건강위기 상담전화 (☎ 1577-0199) 서비스 정신건강전문요원 등이 정신건강 상담, 정신건강 정보 제공, 정신의료기관 안내 등을 합니다. 365일, 24시간 운영됩니다. (단, 야간,주말 .. 2023. 7. 18.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 대상, 내용, 방법, 보건의료 지원 정신건강 증진 등의 도움을 받고 싶을 대는 정신질환자 치료비 지원사업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지원 대상 정신질환으로 인하여 적시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자 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게 진단받은 정신질환자 ② 자타해 위험이 발생하여 즉각적으로 응급, 행정입원이 필요한 자 ③ 정신질환의 만성화 예방 및 지속 치료 동기부여가 필요한 초발(처음으로 생겨남) 정신질환자 및 외래치료 지원을 받은 자 ♣ 지원 내용 ♣ 지원 방법 ① 주소지 관할 보건소에 신청 ② 가까운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신청 (전국 시군구에 운영 중) ♣ 문의 ① 보건복지상담센터 (☎ 129) ② 주소지 관할 보건소 또는 정신건강복지센터 다양한 보건의료 지원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편하게 클릭하셔서 알아보세요~~ 2023. 7. 18.